•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3호

    떠나볼까요? 선충이 어떤 동물이야?“그런데 선충이 어떤 동물인가요?”아침 10시, 갈매기가 날아다니는 인천 바닷가. 기자는 김준 연구원과 함께 신도로 떠나는 배를 탔어요. 선충이라는 말이 생소했던 기자가 김준 연구원에게 물었지요.“선충은 선형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작은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1호

    마리만 남은 멸종위기종이에요. 이어 대원들은 갯바닥을 성큼성큼 걷는 중부리도요, 괭이갈매기, 중대백로의 모습도 발견해 각자의 연구 노트 ‘조류 현지 조사표’에 관찰 시간과 종명, 개체수, 특이 사항 등을 기록했어요.아침우주네 팀의 성아침(서울 압구정중) 대원은 “가족들과는 주로 산이나 ...

  • [가상인터뷰] 알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

    [가상인터뷰] 알끼리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6호

    부화가 1주일 남은 갈매기들의 알로 실험했어. 한 그룹의 알에는 위험을 알리는 어른 갈매기의 경고음을 들려주고 다른 그룹은 경고음을 들려주지 않았어. 그리고 부화할 때까지 한 둥지에 두었지.부화 후 두 그룹에게 경고음을 들려줬더니 두 그룹 모두 몸을 웅크려 위험에 대비했어. 경고음을 들은 ...

  • 괭이갈매기 알 1600개 훔쳐간 도둑 잡아라!

    괭이갈매기 알 1600개 훔쳐간 도둑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이?Part2. 괭이갈매기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Part3.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 도움김미란 책임연구원(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김철수 경사(태안해양경찰서 수사과), 이장호 연구관(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환경연구과), 홍상희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되고, 집비둘기처럼 배설물 등의 문제를 일으키면 유해종으로 지정될 수도 있지요. 괭이갈매기가 바다에서 건강한 먹이를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몸짓을 크게만 하지 않으면 팔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곳까지 다가오는데, 태안 난도의 괭이갈매기들은 항상 저희가 발을 딛자마자 한꺼번에 날아갔어요. 유독 예민하게 반응해서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불법으로 알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자주 겪었기 때문에 지레 겁먹고 피했던 것 같아요 ...

  •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이?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멸치나 새우, 오징어 등 먹이가 많은 곳이지요. 해안을 자유롭게 날아다닐 땐 괭이갈매기를 위협하는 생물이 없지만 번식지에선 고양이나 쥐들이이들의 알을 노려요. 둥지는 평지에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쌓은 평평한 형태라 포식자가 접근하기도 쉽지요. 따라서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함께 ...

  • [화보] 자연에 숨어있는 능력자들!

    [화보] 자연에 숨어있는 능력자들!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1호

    살아요. 암컷들이 떼로 몰려다니며 오징어, 물고기, 갑각류를 사냥하죠. 이들은 다시 갈매기와 거북의 먹이가 된답니다. 그런데 다들 어딜 가는 걸까요? 약속에 늦기라도 한 건지 바빠 보이네요! 어질어질, 바람개비인가? 이제 현미경으로 더 작은 세계를 살펴볼까요? 수많은 바람개비가 서로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과학동아 2018년 12호

    받을 수 있어서 고도를 높이는 데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물총새, 붉은부리갈매기처럼 물에서 서식하거나 물속 먹이를 사냥하는 새의 경우 깃가지와 작은 깃가지의 밀도가 조류 중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방수 기능을 높이고, 물속으로 들어갈 때 저항을 줄이기 위해 깃털의 구조를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

    과학동아 2018년 08호

    조류, 해양포유류의 체내에서 PFOS를 발견해 그 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했다. 당시 한국 괭이갈매기의 간에서도 PFOS가 검출됐다. doi:10.1021/es001834k  특히 물고기 등 1차 소비자보다는 밍크고래나 흰머리독수리처럼 먹이사슬에서 최상위를 차지하는 최종소비자인 경우 PFOS의 농도가 높았다. 이 연구는 ...

  • 더보기 +